blah/Amazing Facts on Week (3) 썸네일형 리스트형 240812 - 240818 금주의 놀라운 사실들 2408121) C언어에서는(다른 언어나 OS에서는 어떨지 모르겠다) 1바이트(=8비트)로 구성된 한 칸 한 칸을 가리키는 주소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물리적인 메모리와 1대1 대응한다. 그 주소를 바탕으로 접근과 조작이 이루어진다.생각해보면 디스크에서도 그러한 주소가 있어야 할 것이다. 접근을 해야 하니까. OS가 적절한 파일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서 프로그램이 그 인터페이스로만 상호작용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렇게 인터페이스로 wrapping된 안쪽에서는 실제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해야만 한다. 여기서부터 모르겠다. C언어로 디스크를 어떻게 관리 및 조작하는가?(물론 기계어나 어셈블리는 더더욱 모른다) 메모리 관리나 시스템 콜(이 단어도 처음 알았다)이 아닌 방식으로 디스크를 조작해야 하는데 도통.. 240805 - 240811 금주의 놀라운 사실들 240805이 날은 비즈니스 매너라는 개념에 대해서 배웠지만 여전히 잘 모르겠다. 주변에 이 이야기를 꺼내며 영업직은 못하겠다고 했더니 "고란 씨는 고객이 빡치게 하면 팜플렛으로 머리 깰 듯ㅋㅋ"이라는 말을 들었다. 비즈니스 매너는 그 자체로 놀라운 지식이었지만 글쎄, 잘 따를 수 있을 것 같진 않다. 240806이 날은 멍청한 실수로 고통 받았다. 추상적인 사고와 구체적인 구현 사이의 간극을 줄여나가야만 한다. 2408071) race condition이나 deadlock에 대해서는 개념만 조금 들고 있는 상태였는데, lock와 deadlock에 대해 이야기를 들으면서 정말 dead라는 표현이 잘 맞아들어간다는 느낌이었다. lock을 살아 있는 존재라고 생각하자. 살아 있다는 것은 상태의 변화를 갖.. 240729 - 240804 금주의 놀라운 사실들 2407291) Oracle DB는 AS(alias)를 쓰면 'ORA-00933: SQL command not properly ended' 에러를 띄운다…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일이니… 그냥 띄어쓰기만 써야 한다는 듯. 2407301) C언어에서 전위연산자(prefix operator)와 후위연산자(postfix operator)의 차이. 보다 정확히는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라고 해야겠지.전위연산자(ex. ++i)는 변수의 값을 먼저 증가/감소시킨 뒤 해당 값을 표현식(expression)에서 사용한다. 반대로 후위 연산자(ex. i++)는 변수의 값을 표현식에서 사용한 후 해당 값을 증가/감소시킨다.전위연산자의 경우는 바로 메모리 상에서 변수의 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데 반해, 후위연산자의 경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