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JavaScript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래스와 프로토타입 JavaScript는 프로토타입(prototype) 기반의 언어라고 한다. 그래서 프로토타입이 뭘까? 프로토타입 체인은 뭘까? 내 얕은 지식을 바탕으로 정리하자면, 클래스와 프로토타입은 둘 다 객체 지향이라는 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론)이고, 둘의 가장 커다란 차이는 프로토타입의 인스턴스 자체가 상속과 다형성을 지원하느냐 아니냐인 것 같다. 클래스는 클래스와 인스턴스 사이의 차이가 명백하다. 클래스는 일종의 틀이고, 인스턴스는 그 틀의 조건을 만족하는 실물이다. 이러한 클래스 기반 언어와 다르게,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의 객체는 그러한 구분이 적다. 객체 자체가 또 하나의 프로토타입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JavaScript에서 모든 객체는 자신의 프로토타입 객체를 참조하는 숨겨진 속성 'prot.. [Vue.js] props props는 properties의 준말으로, Vue에서 부모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변수를 자식 컴포넌트에게 "상속"(물론 OOP에서의 상속과는 결이 다르다)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다음과 같은 부모-자식 컴포넌트를 생각해보자. PARENT {{ name }} {{ age }} child {{ nameProp }} {{ ageProp }} 개명 request take 떡국 Vue.js에서는 props라는 기능을 통해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props의 개략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전달될 데이터인 name과 age는 ref()를 통해 반응형 변수로 설계2) 자식 컴포넌트를 HTML 내에서 호출할 때 어떤 데이터를 props로 전달해줄지 명시.. this JavaScript에는 화살표 함수 표현식(arrow function expression)이라는 게 있다. 보통 화살표 함수라고 줄여 부르는데, 2015년에 발행된 ES6부터 도입된 기능이라고 한다. 화살표 함수를 단순히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라고 부르기는 어렵다. 화살표 함수에 이름이 없긴 하지만, JavaScript에는 전통적인(traditional) 익명 함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바로 흔히 말하는 함수 표현식이다. fucntion 키워드로 시작하여 함수를 정의하는 게 아니라, 변수에 함수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함수 정의 방식. 그러한 전통적인 익명 함수와 화살표 함수 사이의 가장 큰 차이라고 한다면 역시 this 키워드일 것이다. this 키워드는 누더기 같은 존재.. 이전 1 다음